본문 바로가기

정치적 이슈 알아보기

(8) -소셜청년 이대환- (SNS 소통, 총선의 또 다른 승부처)



[한겨레21] [기획] 온라인 유세 현장에서 정치 네트워크 확장하는 정치인들… 트위터 멘션 날리며 중앙정치 이슈 선점하고 여론 주도력 얻어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나 마찬가지다. 적어도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공간에서 여야 정치인의 명운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트위터 팔로어 수로만 따지면 대통령은 유시민 통합진보당 공동대표(41만)다. 최근 민주통합당에 입당한 박원순 서울시장이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하고 있으니 국무총리쯤 되겠다. BBK 폭로로 수감 중인 정봉주 전 의원은 최근 팔로어가 34만5천 명으로 크게 늘었다. 20만 명 수준의 팔로어를 보유한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와 노회찬 대변인, 민주당 문성근 최고위원이 19만 명으로 그 뒤를 잇는다. 새누리당에서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17만8천여 명으로 가장 많지만, 대선주자의 위상, 그 소통의 양과 질을 고려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다. 한명숙·문재인·심상정 등 야권 정치인들이 박근혜 위원장과 비슷한 규모의 팔로어를 유지하고 있다.

갈 길 먼 새누리당

4·11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의 고민은 이처럼 SNS를 통한 이슈 선점 및 여론의 주도력에서 야권에 현저하게 뒤떨어지고 있다는 현실에서 출발한다. 지난 몇 차례의 선거는 이런 ‘힘의 불균형’을 무겁게 각인시켰다. 10·26 서울시장 선거에서 박원순 당시 범야권 단일후보가 이외수·공지영·조국·김여진 등 수백만 명의 팔로어로 무장한 멘토단과 함께 ‘이명박·오세훈 심판론’으로 SNS를 휘젓는 동안 새누리당 나경원 후보는 대리인을 통한 ‘자화자찬 트윗’으로 조롱거리가 됐다. 논란이 일자 나 후보 쪽은 “시스템 간에 충돌이 일어나 계정 연동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해명했지만 이마저도 거짓말이었다. 한 네티즌의 문의로 트위터 본사가 “계정 연동 오류는 없었다”는 공식 견해를 밝혔다. 인위적인 여론 조작 시도는 오히려 유권자의 빈축을 사기에 충분했다. 게다가 야권 성향 유권자들은 ‘투표 독려 인증샷’ 등을 통해 가족과 지인, 친구들을 투표장으로 끌어내는 등 SNS는 선거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새누리당 조현정 눈높이위원장은 “이런 분위기를 반전시킬 방법은 아마 하느님만 아실 것”이라며 “어떤 지략가가 와도, 제갈공명도 하기 힘든 일”이라고 말했다. “진보 성향의 사용자들이 너무나 압도적이어서 개미처럼 꾸준히 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습니다. 세상은 이미 SNS를 통한 소통의 시대가 됐어요. 현장에 나가서 악수하는 것 이상으로 SNS를 통한 소통의 효과가 높다는 이야기입니다. 새누리당 의원들도 이를 무시하면 큰일 나요. 더 적극적이어야 합니다.” 여권 후보들을 향한 조 위원장의 주문이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은 보좌진을 중심으로 세 차례에 걸쳐 SNS 교육을 진행했고, SNS 역량지수를 공천에까지 직접 반영하고 있다. 당 홈페이지에는 이용자들의 댓글이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 등 국내외 SNS로 곧바로 전송되는 ‘소셜 댓글 시스템’을 장착했다. “농촌 지역 의원들은 어쩌란 말이냐” “계정 거래나 알바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시선도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조 위원장은 “일부 문제점이 있을 수는 있지만, 의원들이 SNS 소통의 필요성을 느끼고 당장 시작이라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위원회 활동의 가장 큰 목적”이라고 말했다.

민심 돌아서면 집단 ‘언팔’ 당하기도 

물론 총선은 서울시장 선거나 앞으로 있을 대선과는 다르다. 전국 지역구 245곳에 2명씩의 후보가 트위터를 통해 소통을 시도한다고 가정해도 후보자만 500명에 달하는 셈이다. 유권자가 집중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이슈도 한 지점으로 수렴되기보다는 각 지역으로 흩어지는 구조다. 윤성이 경희대 교수(정치외교학)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나 제주도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문제 등 일부 이슈가 총선을 앞두고 부상하고 있지만, 전국을 포괄하는 쟁점이 되기는 어렵다”면서도 “하지만 투표율 측면에서 트위터 등 SNS 여론은 여전히 강력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민주당도 느긋한 처지는 아니다. 한-미 FTA 발표 문제와 최근까지 활로를 찾지 못했던 야권 연대 협상, 김진표·임종석 등 일부 ‘문제적 인사’들을 포함한 공천 논란 등 악재가 불거져 트위터 민심이 점점 민주당에 등을 돌리기 시작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한때 한명숙 대표에 대한 ‘언팔로’ 운동이 벌어져 2만 명이 넘는 팔로어가 한 대표의 계정을 떠나기도 했다. 한 언론사가 최근 트위터에 올라온 총선 관련 글 253만 건을 분석한 결과 ‘민주통합당’과 가장 연관도가 높은 단어로 “오만하다”가 꼽히기도 했다. 결국 ‘좋은 정치’가 담보되지 못하는 한 ‘좋은 소통’은 요원하다는 뜻이다.

지역 현안이 아니라 중앙정치의 이슈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정치인이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는 역설은 시사하는 점이 많다. 정동영 민주당 의원은 3월7일 제주도 강정마을 발파 현장을 직접 찾았다. 후보 경선을 코앞에 두고 하루 일정을 꼬박 투여한 모험이다. 그는 이날 새벽 “가능한 모든 곳에 연락 넣어보고 있다. 내일 아침 첫 비행기로 강정 가겠다”는 내용으로 시작해 하루 종일 10여 건의 트윗을 통해 현장 상황을 생중계했다. “제주행 첫 비행기를 탔다. 이정희 대표가 함께 탔다. 구럼비여 살아 있으라!” “일단 2시 구럼비 2차 발파 계획은 멈췄다! 사업단장 정 장군에게 발파 중단을 2시간째 입이 아프도록 설득하며 요구하고 있다!” “설득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실패했다. 그들은 2차, 3차 발파로 민심의 역린을 건드렸다. 힘이 부친다. 한명숙 대표가 도착했다. 민주통합당이여, 이제 모두 강정으로 오시라! 함께 스크럼을 짜야 하는 것 아닌가?” 등의 내용이 올라왔고, 트위터의 반응도 폭발적이었다. 지지와 응원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한 네티즌(@siesta16)은 “1차 희망버스 때만 해도 그의 행동을 미심쩍어했지만, 이제 의심하지 않는다”며 “이것을 대선 행보나 쇼에 불과하다고 비하하는 이가 있다면 비웃을 것”이라는 글을 남겼다.

“정책 연대 이슈 개발과 여론화의 공간” 

장덕진 서울대 교수(사회학)는 “총선이라고 해서 ‘지역구에서 누구를 만났다’는 식의 소소한 일상에 매몰되지 말고, 전국적인 이슈를 갖고 승부하라”고 조언한다. 장 교수는 “특히 그동안 오랜 시간 SNS를 통해 소통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는 정치인일수록 중앙정치의 쟁점에 적극 개입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며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떨어지는 신인이라면 새로운 정책 연대 이슈를 개발하고, 이를 SNS 공간을 통해 여론화하는 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송호균 기자 uknow@hani.co.kr 

공식 SNS [통하니] [트위터] [미투데이] | 구독신청 [한겨레21] [한겨레신문]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36&aid=0000026496&sid1=001 -출처- 한겨레21